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고객지원

공지사항 내용
뉴스클리핑(03.19)


1. 15주년 맞은 카카오톡 AI 메신저로 진화한다.

카카오톡이 출시 15주년을 맞아 AI 기술을 핵심으로 한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 상반기 중 AI 메이트를 정식 출시하며, 쇼핑·로컬 분야 AI 서비스를 우선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다양한 콘텐츠를 피드 형태로 제공하는 '발견' 영역을 신설해 체류시간을 늘리고 AI 생성 콘텐츠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2. 네이버 AI쇼핑앱, 아이폰 심사 지연으로 20·30대 공략 차질

네이버의 AI 기반 쇼핑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가 구글 플레이 출시 일주일이 지났지만 애플 앱스토어 버전은 심사 지연으로 출시되지 못하고 있다. 20·30대 여성의 최대 75%가 아이폰을 사용하는 가운데, 네이버는 대규모 할인 프로모션과 타임딜 행사를 진행 중이지만 주요 타깃층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3. AI 스타트업, 무료 체험에서 유료화 전환 가속화

무료 기능으로 사용자를 확보한 국내 AI 스타트업들이 유료 모델로 전환 중이다. 뤼튼은 AI 캐릭터 서비스로 일 매출 1억원을 달성했으며, 보이저엑스와 브루도 구독형 모델로 성장세를 보인다. 유료화는 재무안정성과 투자유치에 도움되나, 사용자 이탈 방지와 차별화된 기술력 확보가 과제로 남아있다.

 



4. 편의점도 반한 건기식…유통업계, 신시장 공략 본격화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성장하면서 다이소에 이어 편의점도 본격 진출하고 있다. CU는 특화 매장을 늘리고 제약사와 협업해 라인업을 확대 중이며, GS25·세븐일레븐도 시장 확대를 검토 중이다. 국내 건기식 시장은 2020년 5조 원에서 지난해 6조 440억 원으로 성장했으며, 2035년까지 15조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5. 구글 AI ‘제미나이 2 플래시’, 워터마크 제거 논란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 2.0 플래시’가 이미지의 워터마크를 제거할 수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경쟁 AI 모델들이 이를 제한하는 것과 달리, 제미나이는 몇 초 만에 워터마크를 지우고 공백을 자연스럽게 채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개발자 전용 도구에서만 사용 가능하지만, 저작권 침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6. SSG닷컴, ‘쓱배송’→‘주간배송’ 리브랜딩…도착 시점 명확화

SSG닷컴이 ‘쓱배송’을 ‘주간배송’으로 리브랜딩하며 장보기 배송 서비스 전체를 통합한다고 18일 밝혔다. 기존 당일배송 서비스는 ‘쓱 주간배송’으로 바뀌며, 주문일 기준 3일까지 지정 가능하다. ‘쓱 새벽배송’과 ‘쓱 트레이더스 배송’도 일원화돼 고객이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

 


 
7. K-뷰티, 크리에이터 경제로 확장…'크리에노믹스' 시대

K-뷰티가 인플루언서 중심 ‘크리에노믹스’로 진화하고 있다. 더현대서울에서 뷰티 크리에이터 민스코의 팝업스토어가 주목받고 있으며, 앞서 레오제이 팝업도 외국인 방문객이 몰렸다. MCN 기업 레페리는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 ‘뷰티테일’ 생태계를 구축하며, 크리에이터 선정 제품을 전면에 내세우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